스피킹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가장 흔히 겪는 공통된 고민은 바로 '말문이 막히는 순간'입니다. 특히 오픽(OPIc)과 토익스피킹(TOEIC Speaking)은 실시간 녹음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긴장하거나 생각이 잠시 끊기면 아무 말도 못하고 시간이 흘러가는 치명적인 상황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문이 막히는 것은 누구나 경험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핵심은 그 순간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입니다. 본 글에서는 오픽과 토스에서 말이 막혔을 때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과 문장 패턴, 그리고 사전에 훈련할 수 있는 실전 대응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시간을 벌어주는 ‘잇는 말’ 전략
말이 막혔을 때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침묵을 피하는 것'입니다. 몇 초간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 유창성(fluency) 항목에서 큰 감점 요인이 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잇는 말(Filler Expressions)' 전략입니다.
잇는 말은 생각을 정리하거나 다음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한 표현으로, 영어권 원어민들도 자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들은 말문이 막혔을 때 효과적으로 시간을 벌어주며, 말하기의 흐름을 유지해 줍니다.
▶ 자주 쓰이는 잇는 말 표현
- Well, let me think for a second...
- That’s an interesting question.
- I haven’t thought about it before, but...
- If I had to choose one, I’d say...
- Let me see… what comes to mind is…
이러한 문장들을 미리 숙지하고 연습해 두면, 당황스러운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말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특히 'Well…' 또는 'You know…' 같은 짧은 표현은 문장 앞에 쉽게 붙일 수 있고 부담감도 적습니다. 시험 전에 이러한 잇는 말들만 모아 '나만의 말문 잇기 목록'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말할 내용이 없을 때, 구조를 만들어 말하는 연습
말할 주제가 갑자기 떠오르지 않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특히 오픽과 같은 시험에서 "최근에 다녀온 병원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병원에 간 기억이 없다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실제 사실보다는 구조화된 답변이 더 중요합니다.
스피킹 시험은 진실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된 흐름과 논리적 전개'를 중요하게 봅니다. 따라서 실제 경험이 없더라도 상상의 상황을 만들고 특정 구조에 맞춰 대답하면 충분히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구조: 상황 설명 → 느낌 → 세부 내용 → 결론
- "Actually, I don’t go to hospitals often, but I can tell you about a time I visited one last year."
- "It was a small clinic near my house. I had a cold and needed some medicine."
- "The doctor was very kind, and the whole process was quick and easy."
- "So, it was a positive experience overall."
이처럼 기본적인 3~4 문장 구조를 미리 암기하고, 어떤 주제에든 적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면, 말할 내용이 부족할 때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더불어 모든 주제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 문장들(예: “I had a similar experience.”, “Let me talk about that in detail.”)을 준비해 두면 더욱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3. 실전에서 당황하지 않도록 훈련하는 방법
말문이 막히는 문제는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충분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전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미리 연습하고 반복적으로 경험하면, 시험장에서의 긴장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1. 즉흥 말하기 훈련 (1분 스피치)
랜덤 질문(예: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소는?", "최근에 구매한 물건은?")에 대해 1분간 말하는 연습을 합니다. 핵심은 주제와 관련된 어떤 내용이라도 말하면서 대화의 흐름을 끊지 않는 것입니다. 말이 막혔을 때는 앞서 배운 연결 표현을 즉시 활용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이야기로 전환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2. 타이머 설정 후 실전 모의
오픽이나 토스는 정해진 답변 시간이 있습니다. 15~45초 안에 답변해야 하는 시간 제한을 정확히 지키며 말하기 연습을 하면, 사고 속도와 말하기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매일 타이머를 켜놓고 3~5문제씩 풀어보는 루틴을 만들면, 시험장에서 말문이 막힐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챗GPT와 말문 대응 시뮬레이션
챗GPT에게 "오픽 질문 1개 줘"라고 요청한 후, 실제로 답변해보고 챗GPT에게 피드백을 요청해 보세요. 이 과정에서 말이 막혔을 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물어보면 매우 실용적인 대응 전략을 배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완벽하게 말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내려놓는 것입니다. 말이 막혔을 때도 "괜찮아, 한 문장이라도 더 자연스럽게 말해보자"라는 긍정적인 태도로 훈련에 임하면 점차 자신감이 생기고 실제 점수도 상승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스피킹 시험에서 말문이 막히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지만, 그것이 치명적인 실수가 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연결 표현, 구조화된 답변 틀, 즉흥 훈련을 통해 말문이 막혔을 때도 대화의 흐름을 이어가고 유창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시험장에서의 긴장도는 줄고 점수는 높아질 것입니다. 오늘부터 '말문 대응 스크립트'를 만들어 자신의 말하기 루틴에 적용해 보세요. 침묵이 아닌 흐름으로 대답하는 훈련이 당신을 AL, IH, IH+ 레벨로 끌어올려 줄 것입니다.